본문 바로가기

음악얘기

[Waltzing Matilda] - 우리에겐 '천리길'이 있다

귀에 익은 곡이지만 그 제목이 Waltzing Matilda 라는 걸 안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스티브 어윈이 죽었을때 그를 추모하는 동영상을 보고 처음 알았다.



제목만 놓고 본다면 ‘왈츠 추는 마띨다’ 다. 근데 죽은사람 추모 영상에 이런 제목의 배경음악은 뭔가 안 어울린다. 리듬도 왈츠가 아니며 멜로디에선 시종일관 슬픔이 여미어 나오고 가끔 비장함마저 느껴진다. 아무래도 제목이나 가사에 다른 뜻이 있는 것 같다.

마띨다는 여인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옛날 여행자들이 등허리에 메고 다니던 개나리봇짐 괴나리 봇짐으로 수정)을 의미한다고 한다. 짐꾸러미 자체로 포근한 침구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그 포근함을 빗대어 이것을 여인 마띨다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우리네 죽부인과 유래가 비슷하다


이 봇짐을 둘러 메면 그게 등허리 윗쪽으로 늘어지게 되는데, 이게 꼭 중세 유럽 여인들이 엉덩이에 넣었던 뽕처럼 보였나 보다. 길을 걸으면 그 개나리 봇짐이 흔들거리게 되는데 그 모습이 꼭 그 뽕 치마를 입고 왈츠를 추던 여인들의 엉덩이 같다고 느꼈던 모양이고. 그래서 이렇게 걸을 때 흔들리는 봇짐을 Waltzing Matilda 라고 묘사했다고 한다. 즉 Waltzing Matilda 를 직역하면 ‘흔들리는 봇짐’이다. 제목이 상당히 서정적이고 목가적으로 느껴진다. 가사까지 살펴보자.

Once a jolly swagman camped by a billabong
Under the shade of a coolibah tree
And he sang as he watched and waited 'til his billy boiled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Down came a jumbuck to drink at that billabong
Up jumped the swagman and grabbed him with glee
And he sang as he stuffed(shoved) that jumbuck in his tucker-bag
You'll come a-waltzing matilda with me

Waltzing matilda, waltzing matilda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And he sang as he stuffed that jumbuck in his tucker-bag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Up rode the squatter, mounted on his thoroughbred
Up rode(came) the troopers, 1,2,3
"Where's that jolly jumbuck you've got in your tucker-bag?"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Up jumped the swagman and sprang into that billabong
"You'll never take(catch) me alive!", said he
And his ghost may be heard as you pa-ass by that billabong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Waltzing matilda, waltzing matilda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And his ghost may be heard as you pa-ass by that billabong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방랑자가 연못가에 야영을 하는데 새끼 양 한마리가 있길래 그걸 슬쩍 가방속에 집어 넣었는데, 양주인과 경찰이 나타나 양도둑을 좇는다. 그들에게 잡히느니 방랑자는 차라리 물속으로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뭐 대충 이런 이야기 같다. 갈수록 태산이다. 아무리 봐도 그저 ‘양도둑’에 대한 이야기 아니든가. 전혀 서정적이지도 목가적이지도 않다.

게다가 스토리도 이상하다. 새끼양 한마리 가방에 집어 넣고 가다 걸렸으면 새끼양을 도로 내어놓으면 되지 경찰에 잡히기 싫다고 목숨을 끊는 건 뭔가? 이런 희한한 가사와 ‘흔들리는 봇짐’이라는 제목을 가진 노래가 스티브 어윈의 추모 동영상의 배경음악이라는 건 여전히 이해되지 않는다.

---

그 무렵 Tommy Emmanuel과 Chet Atkins 가 함께한 이 Waltzing Matilda를 연습곡으로 골랐다. 사연은 감이 잡히지 않지만 멜로디가 매력적인 그 곡, 기타곡으로 편곡한 것도 썩 괜찮다. 근데 이상한 건, 여느 곡들은 기타가 손에 익을 무렵 슬슬 그 곡에 싫증을 느끼게 마련인데 이곡은 그렇지 않다. 아직도 이 곡을 치면 아름답다고 느낀다.


다른 편곡이 있나 찾아보다가 호주 출신의 유명한 포크그룹 The Seekers의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럭비경기가 호주에서 열리는데 경기 전 이 노래를 부르고 관중들이 이 노랠 따라한다. 두 나라는 거의 같은 나라처럼 보이는데 서로 라이벌이라네? 밑에 붙은 댓글을 보고 알았다. 호주의 ‘비공식 국가’정도의 곡이며 호주인들은 공식국가보다도 이 노랠 더 사랑한다고.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했다. 스티브어윈, 타미 엠마뉴엘, 시커스.. 다 호주인들이다. 그랬었다. 이 노래는 호주인들과 깊이 관련이 있었다. 호주인들에겐 이 ‘흔들리는 봇짐’이 우리의 ‘아리랑’과 같은 곡이었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님과의 이별을 슬퍼하는, 유치한 가사와 청승맞은 멜로디의 아리랑이 ‘우리 겨레의 민요’로 상징되고 있다는 것이 늘 불만이었는데.. 이 ‘흔들리는 봇짐’을 알고 나서 위안이 된다. 호주도 마찬가지 아닌가. 양도둑놈 이야기 노래를 국민 민요로 부르고 있다. 위안이 아주 많이 된다. 티비에서 보면 호주인들은 방송중에 서로 주먹다짐도 하고 그러던데.. 무대뽀 기질이 좀 있는 국민들인가 보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그 양도둑놈이 예사 도둑놈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설마 아무런 의미도 없는 양도둑놈 스토리를 국민들이 저리 좋아할까. 그래서 좀 알아보기로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자료는 없었다. 단지 알아낸 거라곤 ‘Great Shearer’s Strike 무렵에 어느 노동자가 양을 총으로 쐈는데 쫓기던 이 노동자가 자살한 사건’이라는 것뿐이었다. 나름대로 스토리를 좀 엮어봤다.

[1891년에 Queensland에서 큰 파업이 있었다. Great Shearer’s Strike라고 하는데 파업 정도가 아니라 거의 내전 직전까지 갈 정도로 규모가 대단했었다고 한다. 즉, 단순히 양털깎는 노동자들의 파업이 아니라 억압받던 식민지 노동자들과 영국 통치세력간의 독립운동 같은 것이었던 모양이다.

영국에서 범죄자를 모아서 데리고 와 풀어놓은 곳이 호주였기 때문에 영국 본토의 점령세력과 호주 이민자들 사이엔 상당한 차별과 알력이 있었던 것 같다. ‘쓰레기 같은 죄수들 주제에 감히 파업 폭동을 일으켜..’ 같은 민족(앵글로 색슨)이지만 영국 지배세력이 식민지 노동자세력을 어지간히 차별하고 학대했었던 모양인데, 이 대파업은 결국 군대가 동원되면서 무력으로 진압되었다.

1984년 9월 Dagworth라는 곳에서 또다시 작은 파업이 일어났다. 이때엔 일단의 노동자들이 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때 파업 주동자가 목장의 양들을 화풀이로 좀 쏴죽인 모양이다. 이에 격분한 지주가 이 파업의 주동자 Samuel Hoffmeister라는 사람을 경찰과 함께 추격했는데.. 경찰에 잡히기 전 그가 자살을 택했다고 한다. 아마 브레이브 하트에서 ‘프리덤’ 이라고 외쳤던 정도의 감동적인 장면을 연출했었던 모양이다.

이 노동자의 죽음이 사람들사이에 퍼져 나가고, 1895년 Banjo Paterson이라는 시인이 이 이야기를 시로 쓰고, 그 시에 Christina Mcpherson이라는 여자가 곡을 붙였는데, 그게 바로 Waltzing Matilda다.

아마도 이 노동자의 자살이 촉발제가 되어 식민지 노동세력들이 공분하고, 민중혁명의 조짐이 일고, 놀란 지배계급이 조금씩 양보를 하고.. 이러면서 호주에서 영국지배세력과 식민지 이주세력간의 차별이 없어지기 시작했고, 오늘날 호주인들이 누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확립되는데 주요한 의미가 된 모양이다.]

---

근래에 호주의 국가를 선택하는 국민투표가 있었다고 한다. 호주와 호주국민의 위대함등을 노래하는 전형적인 국가 ‘Advance Australia Fair’가 국가로 채택되었지만 이 '양도둑’ 이야기를 국가로 하자는 사람도 무려 35%나 됐었다니 이 노래가 호주인들에게 얼마나 대단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알만 하다.

이 아름다운 멜로디와 가슴 아픈 가사의 노래를 비공식 국가로 지칭하며 사랑하는 호주인들이 부럽다. 얼핏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이 노래에 숨겨진 그런 역사, 그 사건을 자유와 민주주의로 승화시켜 이 노래를 사랑하는 호주인들.. ‘윌씽 마띨다’는 아리랑이 아니었다. 정체불명의 恨만 맺혀있는 아리랑이 아니었다. 가사를 다시 봤다.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And his ghost may be heard as you pa-ass by that billabong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직역하면 ‘흔들리는 봇짐’이었지만 이 노래에서 ‘월씽 마띨다’는 ‘길을 함께 감’ 또는 ‘길벗’ 혹은 ‘동지’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숨막히게 멋들어진 은유다. You'll come a waltzing matilda with me.. 우리 이 길을 함께 가자. 그의 혼이 우리들을 지켜볼 것이니.. 멜로디만큼이나 멋진 노랫말이다. 이래서 호주인들이 이 노래를 국가처럼 사랑하고 있는 거였다.


눈을 떠 보자. 우리에게도 이런 노래가 있다.
‘아침이슬’ ‘늙은 군인의 노래’ ‘천리길’ 아름다운 멜로디와 가슴 벅찬 가사의 노래들이 있다.
하나를 고르라면..

국가대항전 경기에서 김민기가 아이들과 함께 ‘천리길’을 부르는 날을 기다려 본다.
‘가자 천리길 굽이굽이 쳐 가자. 흙먼지 모두 마시면서 내땅에 내가 간다..’